728x90
반응형
Java
장점
- 안정성과 성숙한 생태계
- 2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언어로 안정적이고 잘 테스트된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를 제공
- 백엔드 개발에 최적화된 도구와 IDE가 풍부
- 플랫폼 독립성
- JVM 기반으로 Write Once, Run Anyshere 철학 구현
- 다양한 플랫폼에서 동일한 코드를 실행 가능
- 커뮤니티와 지원
- 방대한 커뮤니티와 풍부한 학습 자료 덕분에 문제 해결이 쉬움
- 지속적인 업데이트로 최신 기술 지원
- 확장성과 성능
- 대규모 시스템 개발에 적합하며 성능이 우수
- 대량 트랜잭션 처리나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
- 안정적이고 명시적인 코드
- 강타입 언어로 명확한 코딩 스타일을 유지하며 코드 가독성이 높음
단점
- 장황한 문법
- 코드가 지나치게 장황할 수 있어 생산성이 떨어질 수 있음
- 반복적인 boiler plate 코드가 많음
- 모던 기능 부족 (기존 버전)
- Java 8 이전에는 람다식, 스트림 등 현대적 기능이 부족했음
- 최근에는 개선되었으나 Kotlin 등 새로운 언어에 비해 모던한 문법이 제한적
- Null Safety 부족
- NullPointerException이 흔한 문제로 개발자가 이를 관리해야 함
Kotlin
장점
- 간결하고 현대적인 문법
- Java 대비 코드가 간결하여 생산성이 높음
- 코틀린에서는 boiler plate 코드가 최소화 됨 (데이터 클래스, 함수형 프로그래밍, 확장 함수 ..)
- Null Safety
- NullPointerException을 방지하는 문법이 기본 제공 (? 연산자, !! 연산자)
- null 관련 오류를 컴파일 타임에 잡을 수 있어 안정적
- Java와 완벽한 상호운용성
- Java 코드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Java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를 쉽게 통합 가능
- 점진적인 마이그레이션 용이
- 코루틴(Coroutines)을 통한 비동기 처리
- Kotlin의 코루틴은 비동기 프로그래밍을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
- 백엔드 개발에서 비동기 작업(API 호출, 데이터베이스 액세스)에 유리
- 구글과 JetBrains의 지원
- Android 공식 언어로 선정
- JetBrains의 지속적인 지원으로 언어와 도구가 발전
- 데이터 클래스와 기본 제공 기능
- 데이터 클래스와 같은 기본 문법으로 객체 생성과 관련된 boiler plate 코드 최소화
단점
- 학습 곡선
- Java에 비해 초기 학습 곡선이 높을 수 있음
- 기존 Java 개발자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문법 다수 존재
- 컴파일 속도
- Java에 비해 컴파일 속도가 다소 느릴 수 있음
- 커뮤니티와 생태계
- Java 만큼 커뮤니티와 자료가 풍부하지 않음 (하지만 빠르게 성장중)
- 새로운 언어로 인한 리스크
- Java에 비해 역사가 짧아 일부 라이브러리나 도구의 지원이 부족할 수 있음
- Kotlin DSL 이나 특정 플러그인 지원은 아직 성숙 단계
Java와 Kotlin 차이점
- 간결성: 코틀린은 보일러 플레이트를 줄여 간결하고 직관적임
- 널 안정성: 기본적으로 널을 허용하지 않음. NPE를 컴파일 시점에 방지 가능
- 자바에서는 모든 객체 참조가 기본적으로 널을 가질 수 있어 NPE가 발생할 위험이 있음
- 코틀린에서는 변수 선언 시 기본적으로 널을 허용하지 않으며 허용하려면 타입에 ?를 명시해야 함
- 코틀린은 안전 호출 연산자 ?. 와 엘비스 연산자 ?: 등을 제공하여 널 처리를 더욱 안전하고 간결하게 할 수 있음
- 확장 함수: 기존 클래스에 새로운 함수를 추가할 수 있는 확장 함수를 지원
728x90
반응형
'Java & Kotl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JVM (0) | 2025.01.26 |
---|---|
Garbage Collection (0) | 2025.01.26 |
PriorityQueue (우선순위 큐) (0) | 2023.07.07 |
Kotlin? (0) | 2022.08.28 |
Java의 특징 (0) | 2021.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