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헥사고날12 헥사고날 아키텍처 포트와 어댑터 아키텍처라고도 불리며 애플리케이션의 핵심 비즈니스 로직을 외부 요소로부터 격리하는 아키텍처 패턴구성 요소도메인(내부)핵심 비즈니스 로직외부 의존성이 없는 순수한 도메인 모델포트를 통해서만 외부 통신포트(인터페이스)인바운드 포트: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외부에 노출아웃바운드 포트: 외부 서비스 사용을 위한 인터페이스어댑터(외부)주도하는 어댑터: REAT API, 웹 UI 등주도되는 어댑터: 데이터베이스, 외부 API 등장점테스트 용이성: 외부 의존성을 쉽게 모킹 가능유지보수성: 핵심 비즈니스 로직 보호유연성: 기술 스택 변경에 용이도메인 주도 설계(DDD)와 잘 어울리며 복잡한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함 2025. 1. 24. [만들면서 배우는 클린 아키텍처] 12. 아키텍처 스타일 결정하기 언제 실제로 육각형 아키텍처 스타일을 사용해야 할까?도메인이 왕이다육각형 아키텍처는 외부의 영향을 받지 않고 도메인 코드를 자유롭게 발전시킬 수 있다.도메인을 중심에 두는 아키텍처 없이, 도메인 코드를 향한 의존성을 역전시키지 않고서는 DDD를 제대로 할 수 없다. 만약 도메인 코드가 애플리케이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아니라면 이 아키텍처 스타일은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경험이 여왕이다습관이 저절로 결정을 내리게 된다. 과거에 자주 계층형 아키텍처 스타일로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어 왔다.아키텍처 스타일에 대해서 괜찮은 결정을 내리는 방법은 다른 아키텍처 스타일을 경험해 보는 것이다. 작은 모듈에 먼저 적용해보고 개념과 스타일에 익숙해지면 이 경험이 다음 아키텍처 결정을 이끌어 줄 것이다.그때그때 다르다어떤 아.. 2024. 10. 20. [만들면서 배우는 클린 아키텍처] 11. 의식적으로 지름길 사용하기 지름길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름길 자체를 파악해야 한다. 우발적으로 사용되는 지름길을 인식하고 수정할 수 있고 정당한 지름길이라면 지름길의 효과를 의식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왜 지름길은 깨진 창문 같을까?깨진 창문 이론이 코드 작업에 적용 될 때의 의미- 품질이 떨어진 코드에서 작업할 때 더 낮은 품질의 코드를 추가하기가 쉽다.- 코딩 규칙을 많이 어긴 코드에서 작업할 때 또 다른 규칙을 어기기도 쉽다.- 지름길을 많이 사용한 코드에서 작업할 때 또 다른 지름길을 추가하기도 쉽다.깨끗한 상태로 시작할 책임가능한 한 지름길을 거의 쓰지 않고 기술 부채를 지지 않은 채로 프로젝트를 깨끗하게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름길이 몰래 스며드는 순간 더 많은 지름길을 끌어들이기 때문이다. 프로토타이핑 작업 중.. 2024. 10. 19. 이전 1 2 3 4 다음 728x90 반응형